목차
경기도에서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,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무료 요금 혜택을 제공합니다. 경기도 우대용 교통카드(G-PASS) 중에 어르신 교통카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경기도 어르신 교통카드의 혜택, 발급방법, 발급처, 발급대상, 유의사항을 자세히 살펴보고 최신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.
'경기도에서 전철 및 지하철을 자주 이용하시지만, 교통비 부담이 크다고 느끼시나요?' 특히 노인분들은 이동할 때마다 교통비가 부담될 수 있습니다. 이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교통편의 방법이 바로 경기도에서 제공하는 우대용 교통카드(G-PASS)입니다. 경기도 도민이라면 누구나 쉽게 신청하고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어르신 교통카드를 소개해드립니다.
어르신 교통카드 발급대상 및 발급방법
경기도 어르신 교통카드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분들을 대상으로 기존 일회용 종이승차권 대신 반복 사용이 가능한 비접촉식 교통카드를 말합니다. 특히 노인분들은 수도권 전철 및 지하철, 버스 같은 대중교통을 무료 또는 환승 할인적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 부담을 크게 덜어줍니다. 교통비 지원을 통해 노인분들을 비롯한 사회적 취약 계층이 좀 더 활발하게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정책입니다.
경기도 어르신 교통카드 발급대상은 대한민국 국민으로 만 65세 이상인 사람으로 주민등록상 경기도에 거주하는 경우에 해당 자격이 충족되어 경기도 어르신 교통카드(G-PASS)를 신청하여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만 65세 이상 주민등록상 경기도에 거주하는 대한민국 국민
- 국적 및 나이 : 대한민국 국민으로 만 65세 이상인 사람
- 거주지 : 주민등록상 경기도에 거주하는 사람
경기도 어르신 교통카드는 카드종류에 따라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, 현금카드, 단순 선불카드로 구분됩니다. 어르신 교통카드는 경기도 내 소재 NH농협은행 전 영업점에서 발급 및 신청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. 농/축협 영업점 및 중앙회, 단위 농협에서도 발급이 가능합니다.
본인 명의의 카드발급, 계좌개설 등 금융서류 작성이 필요함에 따라 본인이 직접 방문하여 발급 및 신청을 해야 합니다. 신청 시에는 본인 신분증(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) 및 농협통장을 지참해야 하며 농협통장이 없는 경우에는 바로 신규 통장을 개설하면 됩니다.
농협에 방문하였는데 어르신 교통카드 발급대상이 아니라고 하면 당황하지 마시기 바랍니다. 바로 본인 거주지 내 주민센터에 방문하셔서 주민등록주소 확인 후, 발급대상 여부에 대해 재확인하시면 됩니다.
분실 및 파손 등으로 카드를 재발급할 경우에는 3천 원의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. 타 시도에서 경기도로 전입할 경우에는 전입신고 후 약 일주일 후에 카드 발급신청이 가능합니다. 반대로 경기도에서 타 시도로 전출할 경우에는 전입 시도에서 재발급받아야 합니다.
교통카드 신청 및 발급방법은 신용/체크카드, 현금카드, 단순 선불카드 종류에 무관하게 동일합니다. 자격을 충족하는 경기도 노인분들은 다음 방법을 통해 어르신 교통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경기도 어르신 교통카드(G-PASS) 발급방법(오프라인 신청)
- 거주지 근처 NH농협은행 영업점에 방문하여 신용카드용 또는 체크카드용, 현금카드용, 단순선불카드용 중 본인의 용도에 맞게 선택하여 교통카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신분증과 농협통장을 지참하고 담당 직원에게 신청서를 제출한 후 발급 안내를 받습니다.
- 어르신 교통카드 발급 후 신용카드는 후불제로 나머지 카드는 충전 후 사용합니다.
어르신 교통카드 사용처 및 사용방법
경기도 어르신 교통카드 사용처 및 사용방법은 발급받은 교통카드로 수도권 전철, 지하철, 버스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수도권 전철 및 지하철, 버스를 이용할 때 카드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찍으면 요금이 자동으로 적용되며 무료 또는 환승 할인이 적용됩니다.
경기도 어르신을 위한
지하철 무임 교통카드
경기도 우대용 교통카드
(G-PASS)
수도권 전철 및 지하철 이용 방법
경기도 어르신 교통카드를 소지한 노인분은 수도권 전철 및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 지하철역에 설치된 교통카드 단말기에 카드를 접촉하면 요금이 자동으로 무료 처리됩니다.
현재 무임승차 가능구간은 지하철 1호선~9호선, 경의중앙선, 김포골드, 인천 1호선~2호선, 수인선, 의정부경전철, 에버라인, 경강선, 서해선, 분당선, 신분당선, 경춘선, 공항철도(일반), 우이신설선, 신림선 경전철이 적용되고 있습니다.
버스 이용 방법
경기도 시내버스와 일부 수도권 버스를 이용할 때 어르신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버스 탑승 시 카드 단말기에 어르신 교통카드를 찍으면 정상 요금이 적용됩니다. 단, 버스-지하철/전철-버스 간 30분 이내 환승 시에만 통합 환승할인이 유지됩니다.
카드 충전 방법 : 자동충전 서비스 또는 이즐카드 충전소 찾기
- 신용카드는 후불결제 카드인 만큼 별도의 충전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발급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체크카드 및 현금카드, 단순 선불카드는 충전 후 사용해야 합니다.
- 자동충전 서비스는 체크카드 및 현금카드에 적용되는 서비스로 교통카드 충전금이 다 소진되었을 때 카드와 연결된 계좌에서 교통카드로 자동적으로 충전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. 이 서비스는 NH농협은행 영업점에서 별도 신청해야 합니다.
- 단순 선불카드는 금융기능이 포함되지 않는 교통카드로 버스 이용 시에는 사전에 충전을 해서 이용해야 합니다.
충전금 환불 방법
- 체크카드 및 현금카드의 경우에는 NH농협은행 및 농축협 CD/ATM기에서 환불이 가능합니다.
- 카드 분실 시 환불방법은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. 카드를 분실하였을 경우에는 이즐카드 선불 충전금은 환불되지 않습니다. 단, 분실신고일 기준 6 영업일 이후 이즐카드 고객원장에 남은 금액은 사용자 지정계좌로 환불처리됩니다.
어르신 교통카드 유의사항 및 문의처
경기도 어르신 교통카드 발급 및 사용절차에 따른 유의사항이 몇 가지가 있습니다. 아래의 유의사항을 필히 숙지하셔서 어르신 교통카드(G-PASS)를 사용하시는데 큰 어려움과 불편사항이 없으시길 바랍니다.
발급받은 어르신 교통카드는 본인만 사용
카드를 발급받은 사람만 사용 가능하며 타인에게 빌려주거나 양도할 경우 부정 사용으로 간주됩니다. 이 경우에는 해당 승차 구간에 대한 요금과 30배의 추가 요금을 부과됩니다. 또한, 대여·양도자는 1년간 카드 사용 및 재발급이 제한됩니다.
어르신 교통카드 도난 또는 분실 시 즉시 신고
카드가 도난 또는 분실될 경우에는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즉시 경기도 소재 NH농협은행 및 농/축협 영업점 또는 NH농협은행 고객지원센터에 신고해야 합니다. 신고하지 않고 타인에 의해 부정 사용될 경우에도 카드 사용 및 발급이 1년간 제한되는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1인당 1개의 카드만 발급 가능
한 사람당 1개의 어르신 교통카드만 발급받을 수 있으며 타 우대용 교통카드와 중복 발급이 불가합니다. 타 지자체 무임카드 소지자는 타 지차체 우대용 교통카드를 해지한 후에 발급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
어르신 교통카드 분실 또는 훼손 시 재발급 수수료 발생
카드를 분실하거나 훼손할 경우에는 재발급 시 3,000원의 수수료가 발생됩니다. 이 수수료는 NH농협은행에 납부해야 하며 납부하지 않을 경우에는 카드 사용이 중지되거나 재발급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경기도 어르신 교통카드 관련 담당기관 및 문의처
구분 | 담당기관 | 담당자 연락처 |
카드 관련 이용문의 및 분실신고 |
NH농협은행 고객지원센터 |
1588-2100 또는 1544-2100 |
이즐카드 관련 충전 및 환불 |
이즐카드 고객센터 |
1644-0006 |
정책 문의 노인 부문 |
경기도 노인복지과 |
031-8008-2608 |
정책 문의 시스템 부문 |
경기도 버스정책과 |
031-8030-3822 |
경기도 어르신 교통카드(G-PASS)의 혜택, 발급방법, 발급처, 발급대상, 사용처, 사용방법, 유의사항, 문의처를 꼼꼼하게 살펴보았습니다. 경기도 어르신 교통카드는 경기도 거주 노인분들의 이동의 편의를 제공하면서도 경제적 혜택까지 주어지는 복지정책입니다. 지금 바로 발급받으셔서 경기도에서 제공하는 복지혜택을 하루빨리 누려보시기 바랍니다.